전시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2016 경기아트프로젝트 – 경기잡가京畿雜歌
GYEONGGI JAPGA   New words, New Songs

전시기간
2016. 2.19. – 4. 3.
전시장소
경기도미술관 로비 및 2층 기획전시실
경기도미술관은 2016년 경기아트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경기잡가>전을 개최합니다. 경기도에 축적된 문화자산과 특이성을 반영한 테마를 중심으로 기획하는 경기아트프로젝트는 2016년 올해 한국 현대미술에 다양한 결을 만들어낸 작가 11인의 예술세계를 조명하고자 합니다. 이 전시에서는 ‘잡가’가 지니는 다양성, 개방성에 빗대어 주류 미술계와 거리가 있는 변방에서 생성된 현대미술 작가들의 목소리를 모았습니다. 이들은 이미 중견작가로서 자신만의 독자적 예술세계로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으나, 그 시발과 과정은 주류 사회가 마련해놓은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작동한 것임에 주목합니다. 일류 미술대학이라는 학맥, 해외유학 등 기존의 안전망 대신에 1990년대의 작은 대안공간들, 비엔날레 등 여러 대안적인 갈래들을 통해 주제의식과 표현 방식에서 새로운 경향을 보여주었습니다. 1990년대 이후 한국현대미술에 나타난 종다양성을 한데 증명해보이는 이번 전시를 통해 경기 지역 미술현장에서 자생한 다양한 예술활동의 국면들을 함께 나누시기 바랍니다.



경기잡가京畿雜歌
‘경기잡가’는 조선후기부터 서울을 중심으로 경기지역에서 불려진 노래입니다. 고상하고 바른 음악이라 하여 궁중에서 연주되던 정악(正樂)과는 달리 ‘소리’라는 의미에서 잡가라고 하였으며, 정악에 비해 저평가되었으나 당시 대중에게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변방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소리인 잡가는 결국 상층민과 하층민간의 양분화되었던 문화예술의 권역을 열어 예술의 중심에서 널리 불렸으며, 시대의 변화는 고스란히 노래에 투영되어 대중이 문화·예술의 주체가 되었습니다.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
이전 다음 과거전시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