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경기 팔경과 구곡: 산·강·사람
경기팔경과 구곡
전시기간
2015. 9. 5(토) ~ 2015. 11. 15(일)
전시장소
경기도미술관 기획전시실 A·B존, 프로젝트갤러리 등
참여작가
조선시대 표암 강세황 등 13명, 근・현대기 나혜석 등 작고 작가 6명과 강경구 등 현대작가 40명 등 총 59명 참여
전시내용
경기도미술관은 오는 9월 5일(토)부터 11월 15일(일)까지 기획전시실 A·B존과 프로젝트갤러리에서 특별기획전 《경기 팔경과 구곡: 산·강·사람》을 개최한다. 모두 5부로 구성된 전시의 제1부는 두 개의 공간으로 나뉘어 있다. 1층 프로젝트갤러리에는 “경기 팔경과 구경”이라는 제목으로 경기도내 31개 시군에서 홍보하는 각 지역의 ‘8경’·‘9경’이나 관광명소, 문화유적 등을 사진과 짧은 해설로 펼쳐놓았다. 이 공간을 벗어나 미술관 로비를 걷다보면 55인치 LED-TV 5대를 탑처럼 쌓아올린 구조물에서 폭포의 물줄기가 쉼 없이 떨어진다. 미디어아티스트 이이남의 대표작인 <박연폭포>다.
본격적으로 전시가 펼쳐지는 2층 기획전시실 첫 번째 방은 “경기 팔경구곡과 이름난 곳”이라는 제목으로 동아시아의 오랜 전통인 ‘소상팔경’과 ‘무이구곡’을 간단하게 짚어보고 경기도의 대표적 명승인 수원팔경, 부계팔경, 벽계구곡을 그린 여러 작가의 그림들을 보여준다. 경기도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뛰어난 자연 경관과 함께 역사유적・고적이 많아 예로부터 이를 그린 그림이 많았다. 제2부의 주제는 “산은 강을 품고”, 제3부는 “강은 바다를 향하네”, 제4부는 “사람은 마을과 도시를 만들고”, 제5부는 “갈라진 땅 다시 만나리”라는 제목으로 ‘산-강-바다-사람-마을-분단’이라는 키워드로 출품작들을 연계시키며 전시의 이야기, 즉 서사(敍事)를 만들어간다.
이 전시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경기도의 이름난 명승(名勝)과 실경(實景)을 그린 조선시대 그림에서부터 근・현대의 풍경화까지 망라하는 통시적(通時的) 관점의 전시라는 데 있다. 두 번째 특징은 경기도의 이야기를 지닌 풍경화를 중점적으로 보여주는 구상회화(具象繪畵) 전시로 기획되었다는 점이다. 세 번째 특징으로는 사람과 마을, 도시의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 네 번째 특징은 분단을 그린 풍경화가 다수 출품되었다는 점이다. 이번 전시는 대중에게 괴리된 어려운 현대미술이 아니라, 그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구상회화를 위주로 한 대규모의 서사적 풍경화 전시로 일반인들이 보고 즐기기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시장 한 켠에는 “문학, 음악, 사진, 영상으로 보는 경기 풍경”이라는 코너를 만들어 관람객이 미술 뿐만 아니라 인접 문화예술 분야의 경향까지도 파악해볼 수 있도록 준비하였다. 20세기 경기도 문학인에 관한 간단한 정보나, 경기도의 명승과 비경 사진을 볼 수 있고, 경기도 관련 대중음악을 들어볼 수 있는 감상코너도 마련하였다. 전시 기간 중에는 전시 관련 교육 프로그램과 인문학 특강, 큐레이터 및 작가와 함께하는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
이전 다음 과거전시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