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경기천년 기념 특별전 《코리안 디아스포라, 이산을 넘어》
기간/ 2018.09.20(목) ~ 2018.11.25(일)
장소/ 경기도미술관 2층 기획전시실
기간
2018년 9월 20일(목) ~ 11월 25일(일)
장소
경기도미술관 기획전시실
주최/주관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미술관
후원
경기관광공사, 한국이민사박물관, ㈜삼화페인트, 아트인컬처, 네오룩
전시 작품
회화 및 영상 114점, 전시관련 도서 및 영상자료 등
참여 작가
중국 일본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동포 작가 25인
【중 국】(7) 유흥준, 권오송, 리승룡, 김승, 황철웅, 황윤승, 최길송
【일 본】(8) 이경조, 김석출, 박일남, 홍성익, 리용훈, 김영숙, 리정옥, 정리애
【러시아】(2) 주명수, 조성용
【우즈베키스탄】(4) 강 흐리스토포르, 림 라나, 김 블라디미르, 리 옐레나
【카자흐스탄】(4) 문 빅토르, 리 게오르기, 조 옐레나, 김 예브게니
【중 국】(7) 유흥준, 권오송, 리승룡, 김승, 황철웅, 황윤승, 최길송
【일 본】(8) 이경조, 김석출, 박일남, 홍성익, 리용훈, 김영숙, 리정옥, 정리애
【러시아】(2) 주명수, 조성용
【우즈베키스탄】(4) 강 흐리스토포르, 림 라나, 김 블라디미르, 리 옐레나
【카자흐스탄】(4) 문 빅토르, 리 게오르기, 조 옐레나, 김 예브게니
경기도미술관은 오는 9월 20일부터 11월 25일까지 특별기획전 《코리안 디아스포라, 이산을 넘어 Korean Diaspora – Beyond Dispersion》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경기(京畿)’라는 이름이 정해진지 1천년이 된 것을 기념하여, 경기문화재단과 경기도미술관이 주최/주관하는 전시 중 하나이다. 이번 특별전에는 중국․일본․러시아․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 등 아시아 지역 5개국에 거주하는 재외한인 동포 작가 25인이 참여한다.
‘코리안 디아스포라(Korean Diaspora)’는 한민족의 혈통을 가진 사람들이 모국을 떠나 세계 여러 지역으로 이주하여 살아가는 한민족 ‘이산(離散)’을 의미한다. 19세기 중엽부터 만주와 연해주로 떠나면서 시작한 코리안 디아스포라, 즉 재외한인의 이산으로 전 세계 재외동포사회는 오늘날 743만 명 규모로 성장하였다. 한민족은 조선 말기에는 하와이와 멕시코에 사탕수수 노동자로, 일제 강점기에는 만주와 일본에 농민․노동자․징용군으로, 1960년대에 이후 근대화 시기에는 중남미․북미․유럽․호주 등지에 노동자․이민자․유학생으로 퍼져나갔다. 오늘날 이들과 그 후손은 초기 정착의 역경을 극복하고 현지 사회에 뿌리를 내리며 살아가고 있다.
전시는 ‘제1부: 기억(記憶)_이산의 역사, 제2부: 근원(根源)_뿌리와 정체성, 제3부: 정착(定着)_또 하나의 고향, 제4부: 연결(連結)_이산과 분단을 넘어’ 등 네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이산의 역사를 기억하고, 자신의 뿌리와 정체성을 찾는 작품, 그리고 또 다른 고향에 적응하고 정착하며 그린 그림들, 거주 국가는 달라도 조국의 분단을 아파하고 통일을 바라는 작품을 보면 하나로 연결된 한민족의 정서를 공감하게 된다.
‘코리안 디아스포라(Korean Diaspora)’는 한민족의 혈통을 가진 사람들이 모국을 떠나 세계 여러 지역으로 이주하여 살아가는 한민족 ‘이산(離散)’을 의미한다. 19세기 중엽부터 만주와 연해주로 떠나면서 시작한 코리안 디아스포라, 즉 재외한인의 이산으로 전 세계 재외동포사회는 오늘날 743만 명 규모로 성장하였다. 한민족은 조선 말기에는 하와이와 멕시코에 사탕수수 노동자로, 일제 강점기에는 만주와 일본에 농민․노동자․징용군으로, 1960년대에 이후 근대화 시기에는 중남미․북미․유럽․호주 등지에 노동자․이민자․유학생으로 퍼져나갔다. 오늘날 이들과 그 후손은 초기 정착의 역경을 극복하고 현지 사회에 뿌리를 내리며 살아가고 있다.
전시는 ‘제1부: 기억(記憶)_이산의 역사, 제2부: 근원(根源)_뿌리와 정체성, 제3부: 정착(定着)_또 하나의 고향, 제4부: 연결(連結)_이산과 분단을 넘어’ 등 네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이산의 역사를 기억하고, 자신의 뿌리와 정체성을 찾는 작품, 그리고 또 다른 고향에 적응하고 정착하며 그린 그림들, 거주 국가는 달라도 조국의 분단을 아파하고 통일을 바라는 작품을 보면 하나로 연결된 한민족의 정서를 공감하게 된다.
■ 전시 개막식
일시
2018년 10월 5일(금), 16:00
장소
경기도미술관 기획전시실
■ 전시 연계 국제학술포럼
일시
2018년 10월 5일(금), 10:00~15:50
장소
경기도미술관 1층 강당
주제
아시아의 코리안 디아스포라 미술
강사 및 주제
구분 | 주제(안) | 강사(현직위) |
---|---|---|
기조 강연 |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역사와 현황 | 윤인진(고려대 교수) |
주제발표 |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재일 화가 | 윤범모(동국대 석좌교수) |
중국 조선족 미술의 정체성 | 김복기(경기대 교수) | |
카자흐스탄 고려인 미술사 | 김 옐리자베타(카자흐스탄 미술사가) | |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화가들 | 최 빅토리야(우즈베키스탄 미술사가) | |
간략한 사할린 한인 미술사 | 조성용(사할린 예술대학 교수) |
■ 큐레이터 특강 및 전시 투어
일시
전시 기간중 4회 운영
1차 : 10월 18일(목), 오후 2시-3시
2차 : 10월 27일(토), 오후 2시-3시
3차 : 11월 08일(목), 오후 2시-3시
4차 : 11월 17일(토), 오후 2시-3시
1차 : 10월 18일(목), 오후 2시-3시
2차 : 10월 27일(토), 오후 2시-3시
3차 : 11월 08일(목), 오후 2시-3시
4차 : 11월 17일(토), 오후 2시-3시
장소
경기도미술관 기획전시실
대상
행사 당일 참가자(20인 내외)
참가비
없음
강사
전시 담당 큐레이터
내용
특별전시 해설
■ 전시 구성 및 내용
Ⅰ. 기억(記憶), 이산(離散)의 역사
제1부는 아시아의 재외 한인 이산의 역사에 대한 집단적이고도 개인적인 기억과 서사를 다룬 작품들을 전시한다.
1860년대부터 1910년까지의 시기에는 구한말의 농민, 노동자들이 기근‧빈곤‧압정을 피해서 국경을 넘어 중국․러시아로 이주하였다. 중국 만주와 러시아 연해주(지금의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주한 한인들은 농지를 개간하면서 신분상으로 불안정한 생활을 꾸려갔다. 처음에는 생활고를 해결하기 위한 경제적 이주였으나 일본의 조선 침략이 가속화되자 독립운동가들은 조국의 광복을 위해 정치적 이주를 단행했다. 그래서 이 시기에 연해주는 독립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1910년부터 1945년까지의 시기에는 일제 강점 하에서 토지와 생산수단을 빼앗긴 농민과 노동자들이 만주와 일본으로 이주하였다. 또한 정치적 난민과 독립운동가들이 중국‧러시아‧미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일본은 1931년의 만주사변과 1932년의 만주국 건설을 계기로 만주지역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인들의 대규모 집단이주를 실시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1914~1918) 중 일본의 경제호황을 맞아 한인들이 노동자의 신분으로 도일(渡日)하였으며, 1937년의 중일전쟁과 1941년의 태평양전쟁을 계기로 대규모의 한인들이 광산, 전쟁터로 끌려갔다. 1937년 연해주에서는 소련 지도부의 명령에 의해 17만여 명의 한인들이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으로 강제 이주를 당하였다.
1945년 일본이 패망하고 조국은 해방이 되었으나 중국‧일본‧러시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등지에는 귀환하지 못한 한인 동포들과 그 후손들이 또 다른 고향에 정착하여 살고 있다.
1860년대부터 1910년까지의 시기에는 구한말의 농민, 노동자들이 기근‧빈곤‧압정을 피해서 국경을 넘어 중국․러시아로 이주하였다. 중국 만주와 러시아 연해주(지금의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주한 한인들은 농지를 개간하면서 신분상으로 불안정한 생활을 꾸려갔다. 처음에는 생활고를 해결하기 위한 경제적 이주였으나 일본의 조선 침략이 가속화되자 독립운동가들은 조국의 광복을 위해 정치적 이주를 단행했다. 그래서 이 시기에 연해주는 독립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1910년부터 1945년까지의 시기에는 일제 강점 하에서 토지와 생산수단을 빼앗긴 농민과 노동자들이 만주와 일본으로 이주하였다. 또한 정치적 난민과 독립운동가들이 중국‧러시아‧미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일본은 1931년의 만주사변과 1932년의 만주국 건설을 계기로 만주지역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인들의 대규모 집단이주를 실시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1914~1918) 중 일본의 경제호황을 맞아 한인들이 노동자의 신분으로 도일(渡日)하였으며, 1937년의 중일전쟁과 1941년의 태평양전쟁을 계기로 대규모의 한인들이 광산, 전쟁터로 끌려갔다. 1937년 연해주에서는 소련 지도부의 명령에 의해 17만여 명의 한인들이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으로 강제 이주를 당하였다.
1945년 일본이 패망하고 조국은 해방이 되었으나 중국‧일본‧러시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등지에는 귀환하지 못한 한인 동포들과 그 후손들이 또 다른 고향에 정착하여 살고 있다.
리 게오르기(b. 1955, 카자흐스탄), 《이주》, 2018, 캔버스에 아크릴, 187×88cm

권오송(b. 1958, 중국), 《안중근, 이토 히로부미를 쏘다》, 2018, 캔버스에 유채, 182×247cm

문 빅토르(b. 1951, 카자흐스탄), 《1937년 강제이주열차》, 2017, 캔버스에 유채, 145×200cm

림 라나(b. 1961, 우즈베키스탄), 《고갯길》, 2017, 캔버스에 유채, 45×80cm

주명수(b. 1948, 러시아 사할린), 《집으로 가는 머나먼 길》, 2003-2008, 캔버스에 유채, 145×95cm

Ⅱ. 근원(根源), 뿌리와 정체성
제2부는 아시아의 재외 한인 작가들이 또 다른 고향에서 살아가면서 갖게 되는 근원(根源)에 대한 탐구,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담은 작품들을 보여준다. 한반도의 여러 곳에서 태어난 재외 한인 작가들의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의 고향과 연고지는 그들의 태생적 근원으로 작용한다. 재외한인은 거주국의 역사와 민족정책에 따라 호칭이 다양하다. 현지에서 재중한인은 조선족으로, 독립국가연합에 거주하는 한인은 고려인 또는 고려사람이라고 불린다. 재일한인은 재일조선인, 재일한국인 또는 재일코리안이라고 불린다. 최근에는 ‘재일(在日)’, 즉 ‘자이니치’라는 용어로 재일한인을 가리키는 경우도 많지만 이는 ‘일본에 산다’는 상태를 표시할 뿐이다.
정리애(b. 1991, 일본), 《제사》, 2017, 사진, 60x90cm

조 옐레나(b. 1963, 카자흐스탄), 《돌》, 2010, 캔버스에 유채, 90×120cm

Ⅲ. 정착(定着), 또 하나의 고향
제3부는 아시아의 재외 한인 작가들이 조국을 떠나 언어와 문화가 다른 세상에 정착하고 적응하면서 만나게 되는 시각적 대상을 그린 작품들을 전시한다. 또 다른 고향인 현지의 자연 풍경과 도시의 모습, 인물과 풍속, 역사와 종교 등은 그들 작품의 주제가 된다. 모든 예술은 풍토성을 띠는 것이 당연하므로 거주국의 관습과 문화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또한 거주국 미술계의 역사와 현대미술의 상황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황철웅(b. 1968, 중국), 《천지》, 2016, 종이에 수채, 122×244cm

조성용(b. 1960, 러시아 사할린), 《유즈노사할린스크, 4월》, 2013, 캔버스에 유채, 87×121cm

Ⅳ. 연결(連結), 이산과 분단을 넘어
제4부는 아시아의 재외 한인 작가들이 한민족으로서의 민족 의식과 한반도의 문화적․정치적 현상에 대한 관심을 투영하여 그려낸 작품들을 전시한다. 세계 유일의 분단국인 한반도에 사는 우리와 마찬가지로, 재외 한인 작가들에게도 남과 북의 대치 상황은 관심사일 수 밖에 없다. 그래서 남한과 북한이 마주하는 대화의 자리가 자주 열려, 분단을 극복하고 항구적인 평화체제가 확립되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은 그림들이 꽤 많다. 한편으로는 1980년의 5.18 민주화운동과 같이 조국의 정치․사회적 상황에 대한 관심과 공감을 표현한 작품도 더러 있다. 아시아의 재외 한인 작가들의 작품에는 이산과 분단을 넘어 ‘우리’로 연결되는 공통의 문화적 언어가 들어 있다.
홍성익(b. 1956, 일본), 《기원(和)》, 1988, 캔버스에 유채, 181.8×227.3cm

리정옥(b. 1991, 일본), 《벽을 넘는 다리의 드로잉》, 2015, 사진에 색연필, 21×29.7cm,
(하이바라 치아키의 사진 위에 채색)

김석출(b. 1949, 일본), 《1980.5.27.》, 1982, 캔버스에 유채, 모래, 194×337cm
광주시립미술관 하정웅컬렉션

고려 아리랑 / KORE ARIRANG
고려 아리랑 / KORE ARIRANG
작사 : 김병학 KIM Byeonghak
작곡 : 한 야꼬브 KHAN Yakov
“고려아리랑”은 2015년 8월 15일 카자흐스탄 알마티시 고리끼 공원에서 열린 고려인 광복절 행사에서 선을 보인 이래 고려인들의 공식찬가로 불리기 시작해 지금은 카자흐스탄 각 지역과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심지어는 캐나다에서도 불리는 노래가 됐다.
재소고려인들의 노래 “고려아리랑”은 카자흐스탄 재즈음악의 대부인 고려인 한 야꼬브 작곡가와 김병학 시인이 합동으로 만든 작품이다.
고려 아리랑 영상 다운로드작사 : 김병학 KIM Byeonghak
작곡 : 한 야꼬브 KHAN Yakov
“고려아리랑”은 2015년 8월 15일 카자흐스탄 알마티시 고리끼 공원에서 열린 고려인 광복절 행사에서 선을 보인 이래 고려인들의 공식찬가로 불리기 시작해 지금은 카자흐스탄 각 지역과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심지어는 캐나다에서도 불리는 노래가 됐다.
재소고려인들의 노래 “고려아리랑”은 카자흐스탄 재즈음악의 대부인 고려인 한 야꼬브 작곡가와 김병학 시인이 합동으로 만든 작품이다.

《코리안 디아스포라, 이산을 넘어》 영상자료
《코리안 디아스포라, 이산을 넘어》 전시소개
《코리안 디아스포라, 이산을 넘어》 종합편
그래서 경기도미술관 전시는 늘 대만족입니다.??
단지 아쉬움이 있다면 전시 도록이 전시와 함께 구매할 수 없어서 지방에 사는 저로서는 많이 아쉽습니다.
저와 같은 의견을 가진 분들이 또 계실 것 같아 말씀드립니다. 전시도록이 전시와 함께 출간되길 바랍니다. 제 요청이 경기도미술관의 관람자와 함께 호흡하려는 취지를 위한 파르헤지아임을 이해해주세요.
감사합니다.
경기도 미술관의 좋은 전시 기획에 항상 감사하며 기쁜 마음으로 전시장을 찾습니다
미술관에 찾아와 직접 눈과 가슴으로 감상하며 경기도 미술관의 모든것들을 느끼고 싶은 일인입니다
모든 것들이 참 좋은데 ..전시 기간에 도록이 없다는 사실에 적잖히 놀랐습니다
눈으로 담아가지만 도록을 쉽게 갖지 못한다는 사실이 많이 아쉽긴하죠
작게나마 건의해 봅니다. 전시기간에 도록이 나와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손이 무거웠음 합니다
좋은 전시엔 좋은 사람들이 함께하리라 생각됩니다
좋은 전시 많이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